1. 문제 설명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1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다. (1 ≤ X ≤ 100,000)
- 2: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 3: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4: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5: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2. 입출력 예
입력
- 첫째 줄에 명령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은 하나 이상 주어진다.
- 둘째 줄부터 N개 줄에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출력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명령의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kotlin />
9
4
1 3
1 5
3
2
5
2
2
5
예제 출력
<kotlin />
1
2
5
3
3
-1
-1
3. 코드
<kotlin />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
val bw = BufferedWriter(OutputStreamWriter(System.out))
fun main() = with(System.`in`.bufferedReader()) {
val n = readLine().toInt()
val stack = Stack<Int>()
repeat(n) {
val command = readLine().split(" ").map{it.toInt()}
when(command.size) {
2 -> {
stack.push(command[1])
}
else -> {
when(command[0]) {
2 -> {
if (stack.isNotEmpty()) bw.write("${stack.pop()}\n")
else bw.write("-1\n")
}
3 -> bw.write("${stack.size}\n")
4 -> {
if (stack.isEmpty()) bw.write("1\n")
else bw.write("0\n")
}
5 -> {
if (stack.isNotEmpty()) bw.write("${stack.peek()}\n")
else bw.write("-1\n")
}
}
}
}
}
bw.flush()
bw.close()
close()
}
4. 풀이
스택과 함께 문제의 명령을 when 절을 분기 처리만 시켜주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5. 결과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 5397] [백준 - 5397] 키로거[Silver - 2] [Solved by Kotlin] (1) | 2024.01.08 |
---|---|
[BOJ - 5430] [백준 - 1269] 대칭차집합[Silver - 4] [Solved by Kotlin] (0) | 2023.12.13 |
[BOJ-17213][백준 17213] 과일 서리 [SILVER-2][Solved by Kotlin] (0) | 2023.10.06 |
[BOJ - 5430] [백준 - 5430] AC [Gold - 5] [Solved by Kotlin] (0) | 2023.08.11 |
[BOJ-11404][백준 11404] 플로이드[GOLD-4][Solved by Kotlin]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