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 is Apple
article thumbnail

1. 문제 설명

가희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희는 블로그에 글을 쓰기 위해, 메모장에 키워드를 적곤 합니다.

지금까지 메모장에 써진 키워드는 모두 서로 다르며, 총 N개가 존재합니다.

가희는 새로운 글을 작성할 때, 최대 10개의 키워드에 대해서 글을 작성합니다.

이 키워드들 중에 메모장에 있었던 키워드는 가희가 글을 쓴 이후, 메모장에서 지워지게 됩니다.

가희는 블로그에 글을 쓰고 나서, 메모장에 있는 키워드 개수가 몇 개인지 알고 싶습니다. 가희를 도와주세요.

2. 입출력 예

입력

첫 번째 줄에 가희가 메모장에 적은 키워드 개수 N, 가희가 블로그에 쓴 글의 개수 M이 공백으로 구분해서 주어집니다.

2번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메모장에 적은 키워드 N개가 주어집니다.

N+2번째 줄부터 N+M+1번째 줄까지, 가희가 쓴 글과 관련된 키워드가 , (쉼표)로 구분해서 주어집니다. 공백으로 구분되지 않음을 유의해 주세요.

 

출력    

x번째 줄에는 x번째 글을 쓰고 난 후에 메모장에 남아 있는 키워드의 개수를 출력해 주세요.

 

제한

  • 1 ≤ N ≤ 2×10^5 
  • 1 ≤ M ≤ 2×10^5
  • 1 ≤ 글에 있는 키워드 개수 ≤ 10
  • 1 ≤ 키워드 길이 ≤ 10
  • 키워드는 소문자와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메모장에 있는 키워드 이름은 중복되지 않습니다.
  • 글에 있는 키워드 이름은 중복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 키워드는 여러 글에 있을 수 있습니다

예제 입력

<kotlin />
5 2 map set dijkstra floyd os map,dijkstra map,floyd

 

예제 출력

<kotlin />
3 2

3. 코드

<kotlin />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val bw = BufferedWriter(OutputStreamWriter(System.out)) fun main() = with(System.`in`.bufferedReader()) { val (n, m)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val hashMap = hashMapOf<String, Boolean>() repeat(n) { val item = readLine() hashMap[item] = true } repeat(m) { readLine().split(",").forEach { hashMap.remove(it) } bw.write("${hashMap.size}\n") } bw.flush() bw.close() close() }

4. 풀이

데이터의 개수와 찾아야할 개수가 많으므로 List 보다는 Map(그중에서 HashMap)을 통해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hashMap에 key로 키워드를 넣고 value로는 메모리 차지를 덜기 위해 boolean으로 둔다.

모든 데이터를 삽입 후,  찾는 키워드를 순회하여 찾은 키워드를 map에서 제거한다.

제거가 완료된 map의 크기를 출력해주면 된다.

 

 

 

5. 결과

profile

Apple is Apple

@mjjjjjj